•☆여행기

왕건길지도 및 설명

천상화원 2012. 9. 19. 09:49

대구 인근의 둘레길 중 팔공산올레길과 더불어 꼭 걸어 봐야 할 길.

왕건길이다.

지난주 팔공산올레길 2구간과 왕건길을 병행해서 걸어봤는데

올레길과는 달리 소나무숲길로 이어지는 왕건길 1구간의 환상이

나를 왕건길로 자꾸만 이끈다.

자료를 모아 왕건길을 완주 해 봐야지.

 


왕건길 전구간 산행지도

 

1구간 : 용호상박길(신숭겸장군 유적지~열재 ; 4.4km, 70분)  

○ 구간 특징

   - 927년 고려 왕건과 후백제 견훤의 동수전투에서 피터지게 싸우던 곳으로 신숭겸 장군이

      왕건을 가장하여 싸우다 전사한 사이 왕건이 도주한 길.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신숭겸장군 유적지-(0.7km,15분)-탐방센터-(1.3km,15분)-원모재-(1.5km,25분)

   -만디체육시설-(0.4km,10분)-왕건전망대-(0.5km,5분)-열재

 

2구간 : 열린하늘길(열재~부남교 ; 4.4km, 90분)  

○ 구간 특징

   -왕건이 견훤의 군사한테 패해 도주하다가 날이 어두어 길을 잃고 헤매던 중 다행히

     숲 사이로 하늘이 열려 길을 찾아  도망갔던 길.

   - 2구간 시작지점인 열재는 고갯길이 험해 열명 이상이 모여 넘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 야트막한 거저산 정상을 넘어 산길을 따라 걷는 길.

   - 2구간이 끝나는 부남교에서 우측 포장도로를 따라 210m 정도 가면

     용수동 마을을 개척하면서 배씨와 구씨가 심었다는 당산나무가 있음.

  - 부남교 좌측 포장도로를 따라 100m 정도 가면 직행1번 버스정류장이 있음.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열재-(1.5km,25분)-하늘다리-(0.9km,30분)-거저산-(0.6km,10분)-하늘마루-(1.4km,25분)-부남교

 

3구간 : 묵연체험길(부남교~물넘재 ; 4.9km, 95분)  

○ 구간 특징

  - 산길을 걸으며 자연을 느끼고 침묵하면서 묵연을 통해 자아를 성찰해 보는 길.

  - 부남교앞 구간 표지석 좌측, 뒷쪽으로 상중심마을을 지나 산길을 따라 걷는 길.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부남교-(0.8km,10분)-묵연센터-(1.6km,35분)-통시바위-(1.1km,25분)-발바닥바위-(1.4km,25분)-물넘재

 

4구간 : 문화예술길(물넘재~백안삼거리 ; 3.4km, 55분)  

○ 구간 특징

  - 전통 문화유산을 둘러보고 돌 그리고 시인의 길을 따라 걷는 길.

  - 구간 전체 포장도로를 따라 걷는 길로 식당, 가게들이 많음.

  - 방짜유기박물관 관람, '돌 그리고' 공원 앞으로 전시된 돌에 새겨진 시인들의 자필 시 감상.

  - 방짜유기박물관을 돌아 내려와 입구 삼거리에서 포장도로를 따라 내려가다가 소방파출소를

    지난 후, 좌측 동화천변으로 이어진 소롯길을 따라 가면 바람개비길이 보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물넘재-(0.7km,15분)-도학교다리-(0.9km,10분)-방짜유기박물관-(0.7km,15분,관람시간 제외)

    -동화천-(1.1km,15분)-백안삼거리

 

5구간 : 고진감래길(백안삼거리~평광종점 ; 4.7km, 90분)  

○ 구간 특징

  - 처음에 깔딱재를 오르는 힘든(苦) 길이 지나면 (盡) 편안한(甘) 길이 이어진다(來) 고 하여 고진감래(苦盡甘來) 길로 명명됨.

  - 백안쉼터에서 새터마을까지 산길로 이어지는 길이며, 새터마을 부터 마을 길을 따라 진행함. 

  - 평광지에서 시랑리 가는 길은 왕건의 도피로임(왕건길과는 다름)

    [시랑리 지명의 유래]

    왕건이 견훤의 군사에게 패해 파군재에서 도주할 당시 불로동과 도동을 거쳐 평광동에까지 이르게 되어

    마을 어귀에서 만난 나무꾼에게 주먹밥을 얻어 먹고 힘을 내서 도피를 계속하게 되는데,

    그 사람이 왕건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나무꾼은 그를 찾아 이곳 저곳을 누볐으나

    왕건이 이미 반야월 방향으로 도주한 뒤라 결국 찾지 못하자 이 부근에서 왕을 잃어버렸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실왕리(失王里)라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말에 수치스러운 지명이라 하여 '시랑리'로 고쳐 부르고 있다고 하는데,

    현재 평광동 입구에서 시작하여 신숭겸 장군을 추모하는 영각인 모영재에 이르는 길이 왕건의 도피로로 추정되며,

    '왕건임도'라는 별칭을 갖고 있음.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백안삼거리-(1.2km,30분)-깔딱재-(1.3km,20분)-돼지코-(1.4km,20분)-새터마을-(0.8km,20분)-평광종점

 

6구간 : 호연지기길(평광종점~매여종점 ; 5.2km, 140분)  

○ 구간 특징

  - 요령봉으로 이어지는 힘든 길을 올라 멋진 조망을 보며 호연지기(浩然之氣)를 느낄 수 있는 길.

  - 사과 꽃의 향연과 자연의 물소리가 조화로운 길.

  - 옻골재 직전 대암봉갈림길에서 양쪽으로 왕건길 시그널이 달려있는데,

    우측은 대암봉 가는 길이고, 좌측이 옻골재, 요령봉 가는 왕건길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평광종점-(0.3km,10분)-첨백당-(1.9km,35분)-옻골재-(0.8km,35분)-요령봉-(2.2km,60분)-매여종점

 

7구간 : 가팔환초길(매여종점~초례봉 ; 2.9km, 85분)  

○ 구간 특징

  - 가팔환초는 대구의 가산산성~팔공산~환성산~초례봉을 잇는 4산 종주 산행코스로,

    왕건이 견훤의 군사한테 패해 파군재에서 도주하면서 불로동, 실왕리를 거쳐 초례봉에 이르러서야

    정신을 차리고 의관을 수습하여 하늘에 제를 올렸다고 함.

  - 사방댐에서 부터 초례봉을 오르는 오르막길이 이어지며, 7,8구간을 묶어 초례봉 산행코스를 잡을 수 있음.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매여종점-(0.7km,15분)-사방댐 쉼터-(1.6km,45분)-쉼터-(0.4km,15분)-환성산갈림길,삼거리-(0.2km,10분)-초례봉

 

8구간 : 구사일생길(초례봉~동곡지 ; 3.5km, 65분)  

○ 구간 특징

  - 초례봉을 내려오면서 비로소 왕건이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졌다고 하며,

    왕건길 종점인 동곡지에서 가까운 안심(安心)이란 지명도 왕건이 비로소 이곳에 도착하여 안심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계속해서 반야월, 고모, 대구 앞산, 성주, 김천을 거쳐 송악으로 돌아갔다고 함.

  - 초례봉 하산 길의 바위틈길, 소나무 숲길과 새소리, 바람소리를 느끼며 편안하게 걷는 길.

  - 동곡지 하산 후 우측 택지조성중인 신서혁신도시 현장을 따라 안심역으로 진행함.

  - 동곡지 제방과 게곡을 따라 왕건길 시그널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초례봉에서 동곡지 사이의 왕건길 코스가 두갈래로 나뉘어 지기 때문임.

  - 동곡지에서 안심 지하철역까지 1.9km, 25분 소요(왕건길에 불포함)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초례봉-(0.8km,20분)-초례봉 포토존-(2.2km,30분)-동곡 체육시설-(0.5km,15분)-동곡지-(1.9km,25분)-안심역

 

 ('法明'님의 산행기에서 발췌)